트렌드 인사이트
본문으로 건너뛰기

트렌드 인사이트

대한민국 식문화 트렌드를 연구합니다

그릇에 담긴 음식을 젓가락으로 집고있는 이미지

대한민국 사람들이 먹고 사는
메뉴 이야기

2019.04.19

대한민국 사람들은 하루 평균 3회의 취식을 하면서 매일매일 어떤 메뉴로 식탁을 채울까?

우리는 때로는 된장찌개, 콩나물무침 같은 친숙한 한식 메뉴로 상을 차리거나, 여행지에서 즐겼던 이국적인 분위기의 메뉴들을 찾아 시도해 보기도 하고, 빠르고 간편하게 한 끼를 때우거나, 여러 가지의 반찬을 정성스레 준비해 풍성한 한 끼를 즐기기도 한다. 빅데이터를 통해 매일매일 달라지는 식단을 ① 한식과 한식이 아닌 메뉴, ② 일품메뉴와 반찬류 섭취 현황으로 나누어 들여다보았다.

01

한식 vs. 한식外 메뉴 섭취 비중

CJ제일제당이 메뉴 빅데이터 기반으로 대한민국 사람들의 식단 구성을 들여다본 결과, 한식 메뉴의 섭취 비중이 83%로, 우리 식탁 위에는 아직 한식이 압도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라이프 스테이지가 젊은 층일수록 한식이 아닌 메뉴를 섭취하는 비중이 늘어나, 향후 함박스테이크, 쌀국수와 같은 외식 메뉴들의 섭취 비중 증가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라이프 스테이지 별
한식 vs. 한식外 메뉴 섭취 비중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라이프 스테이지 별 한식 vs. 한식外 메뉴 섭취 비중
 전체1~2인미혼 캥거루미취학 자녀초등 자녀중고등 자녀성인 자녀시니어
한식 83% 75% 78% 81% 83% 87% 90% 88%
한식外 17% 25% 22% 19% 17% 13% 10% 12%

Source: 메뉴 빅데이터(대한민국 소비자 식음료 취식 형태 기록)

*미혼 캥거루 가구: 미혼으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가구

**시니어 가구: 자녀출가 및 독립 후 부부 2인 또는 노부모를 모시고 사는 3인 가구 포함

***한식 / 한식外 메뉴 분류 시 음료, 빵/베이커리, 떡류 등 간식류는 제외함

02

일품메뉴 vs. 반찬류 섭취 비중

반찬 없이 한 끼 식사가 가능한 일품형 메뉴(ex. 볶음밥, 덮밥, 면류 등) ‘일품메뉴’와, 밥과 함께 먹는 반찬 메뉴(ex. 생선구이, 국, 탕, 찌개 등) ‘반찬류’를 기준으로 대한민국 식단을 들여다보면 어떠할까?
반찬류의 섭취 비중이 79%로 우세한 듯 보이나, 1~2인 가구 소비자 중심으로 반찬류 섭취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발현되는 빠르고 간편하게 끼니를 해결하고자 하는 니즈가 녹아 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라이프 스테이지 별
일품메뉴 vs. 반찬류 섭취 비중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라이프 스테이지 별 일품메뉴 vs. 반찬류 섭취 비중
 전체1~2인미혼 캥거루미취학 자녀초등 자녀중고등 자녀성인 자녀시니어
일품메뉴 21% 29% 27% 23% 21% 18% 15% 18%
반찬류 79% 71% 73% 77% 79% 83% 85% 82%

Source: 메뉴 빅데이터(대한민국 소비자 식음료 취식 형태 기록)

*미혼 캥거루 가구: 미혼으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가구

**시니어 가구: 자녀출가 및 독립 후 부부 2인 또는 노부모를 모시고 사는 3인 가구 포함

03

대한민국 사람들이 즐겨먹는 메뉴는?

마지막으로, 한식 vs. 한식外, 일품메뉴 vs. 반찬류와 같은 구분 없이, 대한민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섭취한 메뉴 순위와 육류 소재 취식 비중 및 반찬류 조리법 비중을 알아봤다. 밥 반찬부터 면, 분식까지 다양하게 분포된 취식 메뉴 랭킹을 통해 아래 5가지 특징을 정리했다.

  1. ① 김, 계란후라이는 우리 식탁에 가장 자주 올라오는 밥 반찬
  2. ② 된장찌개, 김치찌개, 미역국은 가장 많이 섭취하는 국물 반찬 Top3
  3. ③ 라면, 김밥, 떡볶이는 가장 사랑 받는 분식 Top3
  4. ④ 고기 중에는 돼지고기 > 소고기 > 닭고기 순서로 많이 섭취
  5. ⑤ 국/탕/찌개를 제외한 반찬류(원물+조리) 중에는 재료를 굽고 부치고 볶는 등 조리하여 섭취하는 비중이 높음
많이 섭취한 메뉴 TOP15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많이 섭취한 메뉴 TOP15
 메뉴명 메뉴명
1 9 어묵볶음
2 계란후라이 10 라면
3 멸치볶음 11 콩나물국
4 된장찌개 12 계란말이
5 미역국 13 떡볶이
6 김치찌개 14 된장국
7 콩나물무침 15 시금치나물무침
8 김밥
육류 소재 취식 비중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육류 소재 취식 비중
육류분류%
합계 100%
돼지고기 33%
소고기 32%
25%
부속고기 5%
가금류 2%
뼈/사골 3%

1)육류기반 메뉴 = 100%

2)가금류 : 오리, 꿩

반찬류 메뉴 조리법 비중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반찬류 메뉴 조리법 비중
반찬류 메뉴%
원물+조리합계 50%
구이/부침 11%
볶음 11%
무침 9%
조림 5%
절임 5%
튀김 3%
데침/삶음 2%
2%
김치 22%
국/탕/찌개/전골 20%
기타(수프,에스닉) 9%

Source: 메뉴 빅데이터(대한민국 소비자 식음료 취식 형태 기록)

top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