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vs. 한식外 메뉴 섭취 비중
CJ제일제당이 메뉴 빅데이터 기반으로 대한민국 사람들의 식단 구성을 들여다본 결과, 한식 메뉴의 섭취 비중이 83%로, 우리 식탁 위에는 아직 한식이 압도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라이프 스테이지가 젊은 층일수록 한식이 아닌 메뉴를 섭취하는 비중이 늘어나, 향후 함박스테이크, 쌀국수와 같은 외식 메뉴들의 섭취 비중 증가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라이프 스테이지 별
한식 vs. 한식外 메뉴 섭취 비중

전체 | 1~2인 | 미혼 캥거루 | 미취학 자녀 | 초등 자녀 | 중고등 자녀 | 성인 자녀 | 시니어 | |
---|---|---|---|---|---|---|---|---|
한식 | 83% | 75% | 78% | 81% | 83% | 87% | 90% | 88% |
한식外 | 17% | 25% | 22% | 19% | 17% | 13% | 10% | 12% |
Source: 메뉴 빅데이터(대한민국 소비자 식음료 취식 형태 기록)
*미혼 캥거루 가구: 미혼으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가구
**시니어 가구: 자녀출가 및 독립 후 부부 2인 또는 노부모를 모시고 사는 3인 가구 포함
***한식 / 한식外 메뉴 분류 시 음료, 빵/베이커리, 떡류 등 간식류는 제외함
일품메뉴 vs. 반찬류 섭취 비중
반찬 없이 한 끼 식사가 가능한 일품형 메뉴(ex. 볶음밥, 덮밥, 면류 등) ‘일품메뉴’와, 밥과 함께 먹는 반찬 메뉴(ex. 생선구이, 국, 탕, 찌개 등) ‘반찬류’를 기준으로 대한민국 식단을 들여다보면 어떠할까?
반찬류의 섭취 비중이 79%로 우세한 듯 보이나, 1~2인 가구 소비자 중심으로 반찬류 섭취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발현되는 빠르고 간편하게 끼니를 해결하고자 하는 니즈가 녹아 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라이프 스테이지 별
일품메뉴 vs. 반찬류 섭취 비중

전체 | 1~2인 | 미혼 캥거루 | 미취학 자녀 | 초등 자녀 | 중고등 자녀 | 성인 자녀 | 시니어 | |
---|---|---|---|---|---|---|---|---|
일품메뉴 | 21% | 29% | 27% | 23% | 21% | 18% | 15% | 18% |
반찬류 | 79% | 71% | 73% | 77% | 79% | 83% | 85% | 82% |
Source: 메뉴 빅데이터(대한민국 소비자 식음료 취식 형태 기록)
*미혼 캥거루 가구: 미혼으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가구
**시니어 가구: 자녀출가 및 독립 후 부부 2인 또는 노부모를 모시고 사는 3인 가구 포함
대한민국 사람들이 즐겨먹는 메뉴는?
마지막으로, 한식 vs. 한식外, 일품메뉴 vs. 반찬류와 같은 구분 없이, 대한민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섭취한 메뉴 순위와 육류 소재 취식 비중 및 반찬류 조리법 비중을 알아봤다. 밥 반찬부터 면, 분식까지 다양하게 분포된 취식 메뉴 랭킹을 통해 아래 5가지 특징을 정리했다.
- ① 김, 계란후라이는 우리 식탁에 가장 자주 올라오는 밥 반찬
- ② 된장찌개, 김치찌개, 미역국은 가장 많이 섭취하는 국물 반찬 Top3
- ③ 라면, 김밥, 떡볶이는 가장 사랑 받는 분식 Top3
- ④ 고기 중에는 돼지고기 > 소고기 > 닭고기 순서로 많이 섭취
- ⑤ 국/탕/찌개를 제외한 반찬류(원물+조리) 중에는 재료를 굽고 부치고 볶는 등 조리하여 섭취하는 비중이 높음
많이 섭취한 메뉴 TOP15

메뉴명 | 메뉴명 | ||
---|---|---|---|
1 | 김 | 9 | 어묵볶음 |
2 | 계란후라이 | 10 | 라면 |
3 | 멸치볶음 | 11 | 콩나물국 |
4 | 된장찌개 | 12 | 계란말이 |
5 | 미역국 | 13 | 떡볶이 |
6 | 김치찌개 | 14 | 된장국 |
7 | 콩나물무침 | 15 | 시금치나물무침 |
8 | 김밥 |
육류 소재 취식 비중

육류분류 | % |
---|---|
합계 | 100% |
돼지고기 | 33% |
소고기 | 32% |
닭 | 25% |
부속고기 | 5% |
가금류 | 2% |
뼈/사골 | 3% |
1)육류기반 메뉴 = 100%
2)가금류 : 오리, 꿩
반찬류 메뉴 조리법 비중

반찬류 메뉴 | % | |
---|---|---|
원물+조리 | 합계 | 50% |
구이/부침 | 11% | |
볶음 | 11% | |
무침 | 9% | |
조림 | 5% | |
절임 | 5% | |
튀김 | 3% | |
데침/삶음 | 2% | |
찜 | 2% | |
김치 | 22% | |
국/탕/찌개/전골 | 20% | |
기타(수프,에스닉) | 9% |
Source: 메뉴 빅데이터(대한민국 소비자 식음료 취식 형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