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인사이트
본문으로 건너뛰기

트렌드 인사이트

대한민국 식문화 트렌드를 연구합니다

플레이팅된 핫도그와 피자 이미지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HMR 경험 변화: 3편 - 스낵류

2019.07.18

HMR(Home Meal Replacement),
즉 짧은 시간 안에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가정 간편식 제품이 낯설지 않은 요즘이다.

일상적인 식탁을 채우는 밥과 반찬 외에도, 간식 혹은 간단한 식사의 개념으로 찾게 되는 스낵류 HMR 을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다.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HMR 경험 변화 마지막 3편에서는 스낵류 HMR 의 구매 경험율 변화를 살펴본다.

3편, 스낵류 카테고리 제품의 구매 경험율 변화

냉동 피자, 핫도그 2개 품목으로 나누어 들여다 본 스낵류 구매 경험율 변화는 아래와 같다.

2016~2018 스낵류 카테고리 제품 구매 경험율 변화
연도별 그래프 색상 설명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스낵류 카테고리 제품 구매 경험률 변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스낵류 카테고리 제품 구매 경험률 변화표
제품군연도별 구매 가구수2016년 ~ 2018년 격차
2016년2017년2018년
냉동 피자 111 547 733 621
핫도그 347 422 504 157

*1년 내 해당 카테고리 제품을 한 번이라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가구 수

출처: KWP,
기간: 매 9월로 끝나는 1년

  • · 냉동 피자의 경우, 16년 비교적 낮은 구매 경험율 보이나, 17년 큰 폭으로 구매 경험율 확대
  • · 핫도그의 경우, 냉동 피자에 비해 구매 경험율의 확대 속도 다소 느리지만, 매년 꾸준히 확대 중

구매 경험율이란,
1년 내 한 번이라도 해당 제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가구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3년 간 구매 경험율 변화의 의미는 아래와 같이 해석해볼 수 있다.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냉동 피자를 1년 내 한번이라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가구 3년간 약 621만 가구 증가 - 이는 서울시 가구의 63퍼센트에 해당함

스낵류 카테고리의 구매 경험율을 라이프스테이지 별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다.

냉동피자
2018년 라이프스테이지별 구매 경험율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냉동피자, 2018년 라이프스테이지별 구매 경험율
냉동피자, 2018년 라이프스테이지별 구매 경험율 표
전체1~2인 가구미취학자녀초등자녀 가구중고등자녀 가구성인자녀 가구시니어 가구
733만 가구 전체 대비 약간 낮음 전체 대비 두번째로 높음 전체 대비 가장 높음 전체 대비 세번째로 높음 전체 대비 약간 낮음 전체 대비 가장 낮음

핫도그
2018년 라이프스테이지별 구매 경험율

이미지 설명 아래 내용 참조
핫도그, 2018년 라이프스테이지별 구매 경험율
핫도그, 2018년 라이프스테이지별 구매 경험율표
전체1~2인 가구미취학자녀초등자녀 가구중고등자녀 가구성인자녀 가구시니어 가구
504만 가구 전체 대비 약간 낮음 전체 대비 두번째로 높음 전체 대비 가장 높음 전체 대비 약간 높음 전체 대비 약간 낮음 전체 대비 가장 낮음
  • · 하교 후 간식 TPO가 많이 발생하는 중고등생 이하 유자녀 가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 경험율 보임
  • · 이 중, 특히 초등 자녀 가구의 스낵류 취식이 높은 특징 나타남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HMR 구매 경험율 변화를 1편: 밥, 2편: 반찬류, 3편: 스낵류로 나누어 들여다 보았다. 다음 편에서는 높아지는 HMR 구매 경험율과 더불어 최근 대한민국 필수 가전으로 자리잡은 에어프라이어의 사용 행태를 살펴본다.

topbutton